2024/01/30
어떻게 생성하고, 접근하고, 조작하냐에 대한 내용
{
['class name']: 'dody'
}
이런식으로 computed property를 불러올 수 있다. (?, 내가 글로 적고도 아직 이해 안되는 부분)
- 객체 생성 방법
(1) 객체 리터럴
(2) 함수를 이용해 객체를 리턴하는, 마찬가지 이것도 객체 리터럴을 리턴하는 것이다.
(3) class를 이용해 인스턴스 객체를 리턴하는 것
if(boxshape instanceof Shape){}
Shape라는 class로 만든 인스턴스 인지 확인해보는 연산자
- 객체를 변형하는 방법
(추가) box.color = 'blue';
(삭제 연산자 사용) delete box.color;
- 데이터 복사 방법
const box1 = box;
=> 객체는 참조타입이기 때문에, 원본이 바뀌지 않지 (???, 이거 배웠었는데 기억이 안나네 )
(1) Object.assign({}, box);
(2) {...box, color: 'blue'}; - 전개연산자
(3) JSON.parse를 이용해 객체를 문자열로 바꾸고, 다시 객체로 변환하는 작업
'강의듣기 > 김민태 jsts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06_17 문법-프로그래밍 도구로서의 객체 (0) | 2024.01.30 |
---|---|
CH06_15 문법-생성기 함수 (0) | 2024.01.29 |
CH06_31 개념과 구조-동기와 비동기 (0) | 2024.01.26 |
CH06_14 문법-비동기 함수 (0) | 2024.01.26 |
CH06_13 문법-일급 함수 (1) | 2024.01.26 |